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자기개발/SW개발

(6)
[Kotlin] 익명 함수 자바와 비교하기 자바의 익명함수는 new 키워드를 붙인 후 컨트롤 + 스페이스 키를 통한 자동완성으로 익명함수 이벤트를 작성할 수 있다. 코틀린에서는 익명함수를 시작할 때 object 키워드를 사용한다. 여기서 드는 의문 하나는 내가 알고 있는 코틀린의 object 는 싱글톤을 언어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. 그래서 한번 사용후 같은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는데.. 코틀린에서 익명함수를 object 키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하면 그 익명함수는 나중에 재사용이 가능한 것인가?
[Android] application 클래스를 상속 받는 이유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면 application.클래스를 상속받아 클래스를 작성하고 해당 클래스를 매니페스트를 통해 설정해주는 경우가 있다. 이러한 코드로 인해 안드로이드 컴포넌트 어디서든 간에 위에서 작성한 클래스에 접근할 수 있다. 접근하는 방법은 안드로이드 개발하다보면 필히 보게되는 getApplicationContext() 코드를 위에서 작성한 클래스로 캐스팅하여 (ex. (해당 클래스명) getApplicationContext()) 저장한 객체에 마침표를 찍으면 해당 클래스에 작성한 맴버 변수, 함수에 접근할 수 있다 일단 자바 클래스에 static으로 작성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을지는 모르겠다.
[개발이슈] git Everything up-to-date 커밋을 한 후에도 push를 하려고 하면 이 메시지가 출력됨 Everything up-to-date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git push origin 로컬브랜지명:원격브랜치명 이 명령어로 입력하니 해결됨
[Flutter] 플러터 provider 파헤치기 provider의 구성 여러 화면에서 한가지 모델의 데이터를 사용할 때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notifyListeners() : 이 함수가 정의된 객체(모델객체)를 사용하는 곳(provider.of, consumer)의 builder 부분을 다시 실행함. 즉, 값이 변화될 때 이 함수를 정의해두면 갱신을 바로 할 수 있음. 안드로이드로 치면 invalidate, notifyDataChange? 하는 것과 같음. ChangeNotifierProvider : 이 객체를 사용할 때는 모델객체(데이터)와 모델객체를 사용할 위젯을 정의한다. 그렇게 되면 지정한 위젯에서 모델객체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. 마치 자바의 싱글톤 객체나 static으로 만들어진 모델 데이터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사..
[Flutter]플러터 공부하기 - 설치하기 플러터 설치를 위해서는 플러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sdk를 추천위치에 설치하면 잘 작동한다. 추천위치는 c://src/flutter 이 위치를 추천한다. 또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플루터를 작업할 것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에서 flutter 플러그인을 다운받아야 한다.
[Kotlin] 코틀린 기본기 - 변수 및 상수 java에서 변수와 상수를 선언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식이었다. private int value = 1; private final VALUE = 1;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아래와 같은 식이다. var value:Int = 1; val VALUE:Int = 1; 정리 1. 자바에서 변수와 상수를 구분하는 방법은 상수에만 final 로 표기를 했지만 코틀린에서는 변수일 시 var, 상수일 시 val로 표기를 한다. 2. 자바에서는 접근제어자, 타입, 변수명, 값 이렇게 4가지로 변수를 정의했지만, 코틀린에서는 변수상수여부, 변수명, 변수타입, 값 이렇게 4가지로 정의를 하며 타입은 생략하여 3가지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. 3. 그렇다면 코틀린에서의 변수의 접근제어자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?

반응형